특성화
목표
구조혁신을 통한 캠퍼스별 특성화, 연합대학 기반 구축
추진원칙
- 참여형 특성화구성원의 이해를
바탕으로 참여하는
특성화 - 개방형 특성화사회변화에 탄력적이고
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
특성화 - 선별형 특성화여건 및 역량분석
기반 자율적, 선별형
특성화
추진전략
- 구조혁신과 연계한
특성화 분야 지원 및 육성 - 특성화 분야와 연계한 학사구조 혁신 및 집단 연구역량 강화
- 기초학문 기반 특성화, 공유기반 연합대학 체계 구축
추진사업
-
특성화분야 지원 및 육성
- 자체 대학특성화 사업 추진
- 진입장벽 최소화
- 구조혁신과 특성화 분야 연계
- 경쟁력 기여도 우수분야 발굴
- 주기적인 평가 예산 지원
-
학사구조 혁신연계 특성화
- 특성화 분야 지속적 육성 유도
- 자율전공제(가상학과)운영
- 유연화를 통한 학과 경제 탈피 특성화
-
집단 연구역량 연계 특성화
- 연구 인프라 재구조화
- 탑클래스 및 지속 가능 연구분야 발굴
- 특성화 분야 연구소 단위 네트워크화
-
기초학문 특성화
- 기초학문 융합 연구 및 교육 지원
- 기초학문 육성 분야 발굴
-
공유기반 연합대학 체계 구축
- 연합대학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
- 연합대학 기초 모델 수립
자체 대학 특성화 사업 추진 방향
-
구조혁신-특성화 연계 지원
- 구조혁신-특성화 연계
-
학과(부) 평가와 특성화 연계성 강화
- 통합학과 중심의 특성화 실현
- 사업단 위주의 특성화
- 연구소 단위 특성화
-
특성화 연구단 우선 지원
- 연구단별 교수 선발 지원
-
경쟁력 우수분야 집중 지원
-
역량중심의 특성화
- 소단위 톱클래스 연구 교육, 연구역량 강화
- 대학경쟁력(교육, 연구) 기여도 우수분야 발굴
- 글로벌 경쟁력 선점 분야 우선 지원
-
-
지역산업 대응력 강화
- 강원지역산업계획과 연계된 특성화 분야 도출
- Open Campus Plan을 통한 지역사회
기여도 강화 - 지역산업체 연계교육 강화, 교육수요자
중심의 학사관리제도 정착 - 사회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유연한
교육체계 구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