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연계
목표
Open Campus: 지역 자원 연계 및 역량 극대화
추진전략
- 캠퍼스별 차별적 지역연계 전략 수립
- 교육·연구·창업, 일자리 창출의 허브 구축
- 지역 문화예술의
중심 역할 수행 - 교육과 봉사가 함께 하는 지역사회의 중심
지역균형 발전 및 도시 재생
-
-
KNU 스타트업 큐브 조성을 통한
지역연계 활성화- 창업교육 등 창업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
- 공간, 멘토, 기술지원 등 창업 및 지역기업체 산학협력 인프라 제공
-
지역사회 협력 모델 구축
- 지역사회연구원 기능 활성화
-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교류협력 프로그램(지역협력관 교류 등)
-
-
-
지역사회와 함께하는 Open 캠퍼스 조성
- 교내 부지를 이용하여 건립 추진
- 동문회관, 제3학생회관, 산합협력타워 건립 추진
-
지역산업과 연계된 산업분야 특성화
- 전문컨설팅을 통한 지역산업 연계 특성화 분야 리빌딩
- 그린에너지관 활용 멘토, 기술지원 등 산학협력 인프라 제공
- 실사구시형 방재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
-
-
-
캠퍼스 타운 선도 모델 구축
- 지역 밀착형 휴먼공공서비스 지역협력 프로그램
- 지역주민 보건협력 프로그램 운영
- 도계 대학도시 마스터플랜 구축
-
대학문화의 도시 확산 :
지역사회 연계교육 문화벨트 구축- 지역과 함께 하는 Open Class 및 교육, 문화 행사
- 대학도시형 평생교육 협업모델 구축
- 지역 개방형 복합문화공간 조성 및 문화벨트 구축
-
통일한국의 중심대학
-
통일연구 인프라 선점
- 업무부서 인력 및 예산 지원 등 조직 개편
- 지자체 연계 학술 포럼 및 행사 개최를 통한 범사회적 통일 분위기 조성 등
-
동질성 회복체계 구축
- 대학과 지역사회의 평화통일 공감 확산
- 지역사회 평화 문화 기반 구축
-
접경지역 환경 보존
- DMZ 자산 활용 극대화
- 접경지역 도시 간 네트워크 구축 지원
-
군 취·창업 지원 및 클러스터 조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