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성화
목표
- 수요기반 학사구조 혁신
- 미래융합인재 양성
- 지역혁신 성장 주도
추진
전략
- 수요기반의
유연한 학사구조 구축 - 특성화 분야
집중 지원 및 육성 - 공유기반
연합대학 체계 구축
중점
추진
사업
-
- 탄력정원제 실시
- 융합전공 확대
- Micro-degree 도입·확대
-
- 자체특성화사업 강화
-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재육성
- 융복합 연구 활성화 및
연구 역량 강화
-
- 강원권 국립대학 간
연합대학 모델 구축 - 국가거점 국립대학 간 연계 및
교류 모델 구축 - 공동캠퍼스 구축
- 강원권 국립대학 간
수요기반 학사구조 혁신
-
수요기반의 유연한 학사구조 구축
-
탄력정원제 실시
- 대학 규모의 적정화를 위한 충원율 기반 입학정원 관리
- 자율적 학사구조 개편에 따른 인센티브 설계 및 제공
- 유연한 학사구조 개편을 위한 기준 수립
-
융합전공 확대
- 융합전공 확대 운영
- 자유전공제 및 미래융합가상학과 확대 운영
- 지속적인 수요 기반 학사구조 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
-
Micro-degree 도입 및 확대
- 교육수요자별 Micro-degree 과정 운영 확대를 통한 수요기반의 유연한 학사구조 구축
- 교육수요자 커리어 디자인
- 일반인 → 학생 확대
-
미래융합인재 양성
-
특성화 분야 집중 지원 및 육성
-
자체특성화사업 강화
- 선택과 집중을 통한 자체특성화사업 강화(사업단수 축소, 사업단별 지원금액 증액)
- 기초학문분야 사업단 운영(안)
- 연구 분야 사업단 신설 및 운영(안)
-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단 운영
-
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재육성
- 디지털 신기술 분야 융복합 과정 개설
- 디지털 신기술 기초교육 활성화
- 인문·사회분야 디지털 교육 활성화
- 디지털 신기술 관련 온라인 콘텐츠 개발·확산
- 디지털 신기술 교육 인프라 창출
-
융복합 연구 활성화 및 연구 역량 강화
- 융합연구대학원 체제 구축
- 융합대학-융합연구대학원-융합사업단간 연계를 통한 융합연구 활성화
-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연계 공동연구 체제 구축
- 연구 역량 분석 및 세계 대학평가 대응방안 수립
-
지역혁신 성장 주도
-
공유기반 연합대학 구축
-
국립대학 간
연합대학 모델 구축- 국립대학간 연계를 위한 비전 및 발전체계 수립
- 국립대학간 연계를 위한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
- 국립대학간 연계를 통한 지역상생모델 구축
-
국가거점 국립대학 간
교류 모델 구축- 학사, 학생, 교원 교류 모델 개발
- 공동 교육 플랫폼 구축
- 공동 연구 플랫폼 구축
-
공동캠퍼스 구축
- 지역 대학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공동캠퍼스 구축
- 수요 맞춤형 공공기관 현장 교육과정 개발, 운영
- 공동캠퍼스 지원 계획 수립 및 지원
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