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ㆍ산학협력
목표
연구자원 결집 /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생태계 조성
추진전략
- 연구소, 사업단 중심의 집단역구연량 강화
- 자유롭고 효율적인 연구환경 구축
- 선순환 산학협력 생태계 조성
추진사업
-
연구인프라 및 지원체계 혁신
-
연구 인프라
- 연구시설 증설 및 환경개선
- 대학내 연구공유시스템 구축
- idea Sore(research mall)운영
- 특성화계획기반 대학원 중장기발전계획 재수립
-
지원체계 혁신
- 불필요한 규제 철폐
- 연구년, 해외파견, 업적평가 제도 개선
- 신임교원 임용 프로세스 개선
-
-
연구소 중심 연구활성화
-
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거점 구축
- 다학제간 협동연구 활성화
- 범캠퍼스 연구소 집단연구역량 강화
-
연구소 유형별 지원시스템 구축
- 산학협력형, 특성화분야로 특화연구소 지원
- 우수연구인력 확보를 통한 스타연구소 육성
-
연구소 평가 및 지원 시스템 강화
- 성장단계별 평가 및 지원 차별화
- 캠퍼스간 연구소 평가체계 일원화
- 실적평가 기반 연구소 통폐합
-
-
범산학협력 캠퍼스 조성
-
캠퍼스 산학협력단지 조성
- 대학-기업의 시너지 창출을 통한 동반협력 체계 구축
- idea Lab을 통한 기업체 맞춤형
원천기술 연구사업 구축 -
인문사회·예술·서비스
산학협력 활성화- 인문예술 산학협력 융합교육 강화
-
-
산학협력 기능 혁신
- 산학친화형 교원 인사제도
및 학사운영체계 확립 - 수요자 대응형 석/박사제도 도입
-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강화
- 산학협력 관리지원 체계 및
조직 혁신 - 연구기획·서비스 기능의 강화
- 창업교육 및 창업 지원 강화
- 기술경영센터(TMC) 설치
중점추진사업
-
연구소 중심 연구 활성화
-
추진배경
- 집단연구력 증진을 통한 연구 활성화
- 연구소 중심 최신 연구 주제 개발을 통한 특성화
-
목표
- 범캠퍼스 연구소 집단연구역량 강화 및 활성화
- 학내 연구자원의 결집, 효율적 이용
- 연구소 간 네트워킹 강화
-
추진전략
- 연구소 기능개선 사업 지원
- 학내·외 연구 네트워크 센터 건립(미래도서관 내)
-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연구거점 구축
- 연구소 유형별 지원시스템 구축
- 연구소 평가 및 지원 시스템 강화
-
-
캠퍼스 산학협력단지 조성
-
추진배경
- 대학 캠퍼스를 산학협력 및 사회혁신의 집적기지로 육성
- 캠퍼스 내 유휴공간 활용과 지식기반 산업기업 입지 경쟁력 강화
-
목표
- 대학-기업의 시너지 창출을 통한 동반협력 체계 구축
- idea Lab-idea Factory-idea Park로 연계된 캠퍼스 산학협력단지 조성
-
추진전략
- 산학협력 기능 혁신
- 캠퍼스 산학협력단지(idea Park)조성
- 인문·사회·예술 서비스 산학협력 활성화
- 혁신형 기업연구소, 혁신지원기관 유치 강화
-
-
idea Lab
-
추진배경
- 기업맞춤형 원천기술 연구사업
- 학생, 교수 창업 기반 제공
-
목표
- 기업의 원천기술 확보와 대학의 연구인력 배출을 연계한 맞춤식 산학협력 순환 체계 구축
- 기업:대학원생 재정적 지원
- 학생:기업 맞춤식 원천기술 연구
-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전략적 동반관계 구축
- 산학협력, 취업연계를 통한 대학원 활성화
- 기업의 원천기술 확보와 대학의 연구인력 배출을 연계한 맞춤식 산학협력 순환 체계 구축
-
추진전략
- 기업의 기술니즈 조사 및 참여기업 선정
- 기업맞춤식 원천기술 기획
- 각 원천기술에 대한 석/박사 신입생 선발
- 특정기업 맞춤식 idea Lab 구성
-